본문 바로가기
여행정보

등산 시 산불조심을 위한 안전 수칙과 대처법

by 놀고 2025. 3. 25.
반응형

요즘 산불과 관련된 기사들이 올라오는 것을 자주 접합니다. 산불은 자연과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큰 재난입니다. 특히 봄철(2월~5월) 산불 조심 기간에는 등산객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 이 글에서는 등산 시 산불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, 산불 발생 시 대처법, 그리고 119 신고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리했습니다. 


 

1. 산불조심을 위한 등산 안전 수칙

등산은 즐거운 취미지만, 산불 예방을 위해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. 아래는 등산 시 꼭 지켜야 할 안전 수칙입니다.

 

1-1. 산불 조심 기간 및 입산 통제 확인

  • 산불 조심 기간: 봄철(2월~5월)은 산불 위험이 높은 시기로, 산림청에서 특별히 관리합니다.
  • 입산 통제 확인: 등산 전 산림청 홈페이지나 관할 시·군·국유림관리소에 연락해 입산 가능 여부를 확인하세요. 입산이 통제된 곳은 출입을 삼가야 합니다.

1-2. 화기물 소지 및 흡연 금지

  • 라이터, 성냥 금지: 등산 시 화기물(라이터, 성냥 등)을 소지하지 마세요. 작은 불씨가 큰 화재로 번질 수 있습니다.
  • 흡연 금지: 산에서의 흡연은 절대 금지입니다. 담배꽁초를 버리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

1-3. 취사와 야영 규칙 준수

  • 지정 장소 사용: 취사와 야영은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서만 진행하세요.
  • 불씨 관리: 취사 후 남은 불씨는 물을 뿌리거나 흙으로 덮어 완전히 꺼야 합니다.

1-4. 기타 주의사항

  • 쓰레기 소각 금지: 논두렁, 밭두렁에서 쓰레기나 농사 폐기물을 태우지 마세요.
  • 산행 계획 수립: 등산 전 날씨 예보와 입산 통제 여부를 확인하고 안전한 계획을 세우세요.

2. 산불 발생 시 신속한 대처법

산불을 발견하면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이 생명을 구합니다. 아래는 산불 발생 시 대피 요령입니다.

 

2-1. 산불 발견 시 신고

  • 즉시 신고: 산불을 발견하면 주저하지 말고 119, 112, 또는 가까운 산림관서에 신고하세요.
  • 신고 후 대피: 상황을 보고 신고 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.

2-2. 대피 방향 결정

  • 바람 방향 확인: 산불은 바람이 불어가는 방향으로 확산됩니다. 바람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세요.
  • 불길 경로 피하기: 산불이 진행 중인 경로를 피해 높은 곳으로 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

2-3. 안전한 대피 장소 선택

  • 안전 지대: 불이 지나간 타버린 지역, 낮은 지대, 도로, 바위 뒤로 대피하세요.
  • 공터 활용: 논, 밭, 공터, 학교 등 산림과 떨어진 장소로 이동합니다.

2-4. 대피 시 주의사항

  • 계곡 피하기: 계곡은 험한 지형과 추락 위험이 있으니 대피 경로로 삼지 마세요.
  • 마스크 착용: 연기 흡입을 막기 위해 마스크나 젖은 수건으로 입과 코를 가리세요.
  • 낮은 자세 유지: 대피할 시간이 없다면 낙엽을 치우고 엎드려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기다리세요.

2-5. 주민대피령 시 대응

  • 공무원 지시 준수: 대피령이 발령되면 공무원의 안내에 따라 신속히 이동하세요.
  • 이웃 알리기: 위험을 모르는 이웃에게 상황을 전파해 함께 대피하세요.

3. 119에 산불 신고하는 방법

산불 신고는 빠르고 정확해야 소방 당국의 대응이 빨라집니다. 아래 단계를 따라 주세요.

 

3-1. 신고 전 준비

  • 위치 파악: 산불 발생 장소를 정확히 확인하세요. 등산로의 119 위치 표지판 번호, 근처 상가 이름, 전봇대 숫자 등을 기억하세요.
  • 신고자 정보: 이름과 연락처를 준비합니다.

3-2. 119 신고 절차

  • 전화 연결: 119로 전화하거나, 공중전화에서는 빨간 긴급 버튼을 눌러 무료 신고하세요.
  • 신고 내용 전달:
    • 위치: "제주도 한라산 영실 코스에서 산불 발생"처럼 구체적으로 설명하세요.
    • 상황: 산불 크기나 확산 상태를 간단히 말합니다(예: "불길이 10m 정도 퍼지고 있음").
  • 대기: 소방대원이 확인할 때까지 전화를 끊지 마세요.

3-3. 기타 신고 방법

  • 문자/앱 신고: 음성 통화가 어려우면 문자나 앱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세요.
  • 영상통화: 청각 장애인, 외국인 등은 영상통화로 신고할 수 있습니다.

결론: 산불 예방과 대처로 안전한 등산 즐기기

산불은 사소한 부주의로도 발생할 수 있는 만큼, 등산 시 철저한 안전 수칙 준수가 필수입니다. 화기물 소지를 피하고, 지정된 장소에서만 취사하며, 산불 발생 시 신속히 119에 신고 후 안전하게 대피하세요. 이 글을 통해 산불조심의 중요성을 되새기고, 안전한 산행을 즐기시길 바랍니다.

 

2025.03.25 - [국내여행] - 봄철 최고의 힐링 여행! 4~6월 추천 국내 산과 등산 코스 가이드

 

봄철 최고의 힐링 여행! 4~6월 추천 국내 산과 등산 코스 가이드

봄바람 타고 떠나는 국내 산행 여행꽃 피는 봄, 4월부터 6월까지는 따뜻한 기온과 함께 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최고의 등산 시즌입니다. 철쭉, 진달래, 벚꽃 등 다채로운 봄꽃이 산을

kunmade.tistory.com

 

반응형